베트남이 자체 제작한 드론을 한국에 수출한다. 한국과 달리, 베트남은 자체적으로 드론을 제작할 수 있는 상당한 수준의 자체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 CT그룹은 지난 12일 서울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포럼에서 한국 드론 기업과 무인 화물기 5,000대 수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최근 밝혔다.
CT그룹 산하 CT UAV가 개발한 대형 운송 UAV(Unmanned Aerial Vehicle) 모델은 60kg에서 300kg까지 적재할 수 있다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이 모델은 독자적 베트남 기술(국산화율 최대 85%)로 제작됐으며, 특히 UAV에 탑재된 반도체 칩을 자체 설계·생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CT그룹은 이번 UAV 수출 계약은 베트남 기술 발전사에서 역사적인 이정표로 기록될 것이라고 자평했다. 이번 성과는 베트남이 글로벌 기술 경쟁 무대에서 한 단계 높은 수준의 경쟁을 펼칠 준비가 됐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이는 국가 경제 성장을 촉진할 뿐 아니라, 베트남의 국제적 위상과 명성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T그룹은 UAV 기술 확보는 베트남에 ‘공간 자동화(spatial automation)’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했다. 비행 로봇은 기존 기준보다 수천 퍼센트 높은 사회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더 많은 특수 UAV를 보유한 국가가 경제·사회 분야뿐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CT그룹은 인공지능 통합형 UAV 모델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 UAV는 자기 학습(self-learning)과 자율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여기에 반도체 기술, 위치 식별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토지·도시·하천·해양·삼각주·산악 지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특수 UAV 기술이 결합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UAV는 산업 전반과 도시 개발, 소비자 시장, 특수 군사·보안 분야, 그리고 국가·광역 방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승객·화물 운송, 물류·유통, 농림업, 의료, 감시 및 구조, 소방, 기술 관광, 보안 모니터링, 탄소 배출권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UAV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