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엣비즈코리아
출처: Adobe Stock, 2025. 9.

‘하노이 공식 디지털 상품관,’ 쇼피에서 연내 데뷔

하노이시가 전자상거래를 통해 지역 상품의 확산을 적극 지원하기로 하고, 최근 ‘계획 제 256/KH-UBND (Plan No. 256/KH-UBND)’ 시행에 들어갔다.

‘하노이 디지털 스토어프런트 프로그램’은 하노이시가 디지털 전환, 전자상거래 확대, 지역 브랜드 강화, 중소기업과 농촌 지역 사업자의 온라인 진입 촉진 등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하노이시 디지털 경제 확대, 전자상거래 활성화, 지역 특산품 브랜드 강화 등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하노이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디지털 경제 비중을 연내 30%, 2030년까지 40%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우선 시범 단계로 오는 12월까지 쇼피(Shopee) 플랫폼에 공식 부스를 개설한다. ‘하노이 수도 제품관(Hanoi Capital Product Booth)’을 구성해 일촌일품(One Commune, One Product, OCOP) 프로그램 인증 제품과 수공업품 중심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연내 60% 이상의 OCOP 제품군을 입점시킨다는 방침이다. 다만, 신선 식품과 가공 농수산물은 제외된다.

비엣비즈코리아
Generated by ChatGPT, 2025. 9.

이번 프로그렘에 참여하는 기업은 전자서명, 전자계약, 전자 세금계산서, 제품 추적 시스템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 참여 업체에는 전자상거래 운영,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이 제공된다. 판매하는 제품은 제품은 인증·품질·위생·원산지 증명을 충족해야 한다.

하노이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전체 시(市) 범위로 확대하고, 여러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소셜미디어, 국경 간 채널까지 넓혀갈 계획이다. 모든 OCOP 제품을 플랫폼에 포함시키고, 기타 지역 사업체 중 최소 50%도 참여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한 기술거래소(Technology Exchange)와 연계해 과학기술 혁신과 무역을 통합한다는 전략도 세웠다. 북부 여러 성(省)과 연계해 ‘수도권 제품관(Capital Region Products Store)’을 구축해 광역 디지털 경제 성장을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과학기술국, 산업통상국, 농업환경국 등 관련 부처가 공동으로 참여한다. 쇼피는 기술 개발과 함께 시범 단계에 소요되는 비용을 부담하고 서비스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비엣비즈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