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엣비즈코리아

신차 수요 늘어나는 베트남, 메이커들은 경쟁과 협업에 분주 – NRI

베트남 자동차 시장이 새롭게 이목을 끌고 있다. 아세안(ASEAN) 지역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구가하면서도 주변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은 자동차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는 베트남은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자동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9월에 발간한 「베트남 자동차 시장의 현황과 전망」 보고서에서 요동치는 베트남 자동차 시장의 동향과 가까운 미래를 조망했다. 일부 내용을 요약해 소개한다.

| 편집자 주

베트남 자동차 시장의 현재

베트남은 인구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이 맞물리면서 자동차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 정책에 힘입어 전기차 전환도 활발하다. 특히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장 구조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업들은 경쟁과 협업을 동시에 전개하며 새로운 기회를 노리고 있다. 무엇보다 커넥티드카, 스마트 모빌리티, 자율주행 기술 등 새로운 분야에서 분주한 모습이다.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2023년 경제 둔화로 일시적인 판매 감소를 겪었으나 2024년에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다. 2024년 자동차 판매 대수는 43만 6070대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22만 5326대가 판매되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베트남의 자동차 보유율은 주변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인구 1,000명당 자동차 보유 대수는 말레이시아 490대, 태국 275대인 반면 베트남은 약 60대 수준이다. 한국은 805대에 이른다. 이처럼 낮은 자동차 보급률은 베트남 자동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 잠재력을 의미한다.

비엣비즈코리아
출처: NRI, 2025. 9.

약진하는 빈패스트, 한국 브랜드 선전

베트남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진 브랜드는 단연 ‘빈패스트(VinFast)’다. 2025년 상반기 기준 빈패스트의 시장 점유율은 약 30%로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일본 토요타(Toyota)다. 그 뒤를 현대·기아 등이 잇고 있다. 토요타는 비오스(Vios)를 앞세워 2024년에 1만 5410대를 판매했으며, 현대 액센트는 1만 3538대로 인기를 모았다.

베트남에서 일본 자동차 브랜드는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2020년 일본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약 47.9%였으나 2025년 상반기에는 약 36.2%로 하락했다. 무엇보다 베트남 국산 브랜드 빈패스트의 약진과 한국 브랜드의 선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 브랜드가 베트남에서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경쟁력 있는 가격 ▲폭넓은 판매·서비스 네트워크 ▲현지 파트너 THACO(탄콩 그룹)와의 견고한 협력 때문이다. K-팝 등 한국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자동차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한다는 분석도 있다.

비엣비즈코리아
출처: NRI, 2025. 9.

‘브레이크 없는’ 베트남 전기차 시장

베트남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의 존재감이 급격히 커지고 있으며, 이를 주도하는 브랜드는 빈패스트다. 빈패스트는 베트남 전기차 시장에서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에는 약 8만 대를 판매했으며, 2025년 상반기 판매량은 6만 7569대를 기록했다. 소형 SUV 모델인 VF5와 VF3는 도시형 주행에 적합한 크기와 기능성을 앞세워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비엣비즈코리아

특히 베트남 정부는 전기차 확산을 위해 세제 감면, 충전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 인식 개선과 함께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전기차 보급 확대는 베트남 자동차 시장의 ‘파워트레인’ 믹스에도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현재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내연기관 차량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의 비율이 해마다 상승하고 있다. 빈패스트의 성장과 정부 지원책에 힘입어 베트남에서는 전기차뿐 아니라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도 시장 내 입지를 넓히는 추세다.

비엣비즈코리아
출처: NRI, 2025. 9.

다만 배터리 교환 시스템 도입, 충전 인프라 보급 확대 등은 전기차 확산을 좌우할 핵심 변수다. 특히 정부의 지원 정책이 약화되거나 보조금이 축소될 경우 소비자 선택이 다시 내연기관 차량으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엣비즈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