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엣비즈코리아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2025. 9.

정부, 베트남에서 ‘예측 가능한 경영 활동’ 지원키로 … 협의 채널 첫 가동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현지에서 예측 가능한 경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베트남에서 한국 기업들이 정상적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방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2일 베트남 재무부, 15일에는 베트남 산업무역부와 각각 화상 회의를 열고, 지난 8월 또 럼 공산당 서기장 국빈 방한 당시 한-베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성과의 이행 현황과 후속 조치 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12일 열린 ‘제1차 한-베 국장급 회의(산업통상자원부-재무부)’에서 양측은 ▲베트남 진출 섬유 기업의 미환급 부가가치세 문제 조속 해결 ▲HD 한국조선해양의 두산비나 인수에 따른 현지 특별 인센티브 승계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 관련 신속한 지원 등을 요청했다.

베트남 재무부는 부가가치세 환급과 인센티브 승계 문제는 지방 정부 소관이지만, 재무부 차원에서 직접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안정적인 전력 공급, 인프라 확충 등 한국 기업의 애로사항과 관련해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한국과의 공급망·에너지·인프라 개발 협력과 양 부처 산하 공기업 간 협력 방안도 제안했다.

15일 개최된 ‘제4차 코리아 베트남 플러스 공동작업반’ 회의에서는 양국 교역과 투자 현황을 점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베트남 현지 국내 재생에너지 투자 기업들의 전력 판매 애로 해소와 LNG 발전 사업 참여를 위한 제도 보완 등을 요청했다. 이에 베트남 측은 유관 부처, 기관과 해결 방안을 모색 중이며 그 결과를 신속히 공유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공동작업반은 ‘2030년 한-베 교역 규모 1,5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양국 정부, 상무관, 무역 지원기관 등이 참여해 교역·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 채널이다. 2023년 9월 제1차 회의를 시작으로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비엣비즈

댓글 작성